번호 : 887 | ID : fineav | 글쓴이 : fineAV | 조회 : 5826 | 추천 : 191
3,600,000 원
데논(Denon) DVD-A1
감동을 느끼게 하는 고화질의 신퓨어 프로그래시브 회로 탑재
4 필드 메모리에 의한 뛰어난 동영상 검출 능력
업계 최고 수준의 14 bit/108 MHz 고속 고정밀도 비디오 DAC를 탑재
슈퍼 서브 앨리어스(alias) 필터 탑재
NSV(노이즈 세이빙 비디오) 기술 탑재
뛰어난 품질의 THX Ultra에 대응
진화된 아날로그 파형 재현 기술인 AL24 Processing Plus를 탑재
고정밀도 192kHz/24bit D/A변환 장치 탑재
돌비 디지털&DTS 디코더 탑재
HDCD 디코더 탑재
고성능 하이브리드 구조 「S.V.H」로더(Loader)
철저한 방진설계
퓨어 오디오 설계에 의한 DENON만이 가능한 고음질 설계
고속 고품위 디지털 전송을 실현하는 DENON LINK 채용
디지털 입력 대응에 의해 D/A변환 장치로 사용 가능
다채로운 기능을 장비
- 퓨어 다이렉트 모드
- 풍부한 화질 조정 기능
- 스피커의 최적 세팅이 가능
- CD-R/RW&MP3 재생
- JPEG 재생
- NTSC/PAL의 양쪽 모두식의 신호에 대응
- 코닥 픽처 CD재생
- 자조식(自照式) 리모컨
데논(Denon)에서 탄생시킨 DVD 플레이어의 역작, DVD-A1
초창기 DVDP 시장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았던 자사의 최고 모델 DVD-5000 출시를 마지막으로, 데논 최고의 플래그쉽 DVDP인 DVD-A1이 탄생 되기까지는 무려 4년여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그동안 왜 데논에서 하이엔드급의 DVDP를 출시하지 않을까 내심 의문이 들었지만, 파나소닉등에서 공급 받았던 주요 부품을 데논 자체의 독창적인 메카니즘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기에 다소 이해가 가는 부분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년 하이파이&홈씨어터 전시회에서 만났었던 데논 관계자에게 언제쯤 신모델 DVDP 가 출시될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고, 앞으로 반년은 더 있어야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면서 최고의 DVDP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답변을 얻었었는데, 결코 그 답변은 거짓이 아닐 정도로 DVD-A1은 기존의 DVDP와 달리 많은 변화와 놀라운 성능을 지닌채 시장에 출시되었다..
[디자인과 구성]
부속물로는 영상과 음성, 전원케이블과 리모콘, 배터리, 그리고 독특하게 데논의 디지털 전송장치인 데논 링크(Denon Link) 접속을 위한 케이블이 들어 있었고, DVD-A1 본체를 꺼내 들었을때, 흠찟거리지 않을 수가 없었는데, 이는 DVD-A1의 크기와 상당한 무게 때문이었다..흔히 보는 여느 일반적인 DVDP의 두세배에 버금가는 사이즈는 그들의 AV 서라운드 앰프인 AVC-A1SR과 매칭이 될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어지간한 AV 리시버를 능가할 정도의 무게(18.5kg)을 지니고 있어서 얼마만큼 섀시의 진동방지에 중점을 두었는지 쉽게 파악이 가능했다..
전면부의 디자인은 이중의 LCD 창에 적당한 무게감이 실려 있는, 엮시 데논의 느낌이 강하게 드는 디자인이며, 고유의 퓨어 다이렉트(Pure Direct)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노브가 전면부 우측에 자리잡고 있다..일반적인 DVDP와 달리 다소 독특한 부분은 PCM 방식의 디지털 신호음의 입력을 받아 들일 수 있어서 D/A 컨버터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는 부분인데, 디지털 신호를 동축과 광으로 선택해서 받아 들일수 있는 노브가 전면부 좌측 하단에 자리잡고 있다..
후면의 단자부는 최고의 플래그쉽 모델답게 금도금된 단자들이 잘 정돈 되었으며, 5.1 채널 아나로그 출력 1조, 프론트 좌/우 출력 1조, 동축/광 디지털 입출력 단자가 각각 1개씩, 총 4개, 데논링크 단자 1개, 컴포넌트, S-Video, 컴포지트 출력단자가 1조씩이 있다..
DVD-A1의 상판 패널을 열면 동판으로 차폐된 세개의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전원부, 비디오/디지털 회로부, 오디오 회로부가 자리잡고 있다. 이 DVD-A1의 섀시부는 아주 독특하게 설계가 되어 있는데, 섀시의 하판은 1.2mm 두께의 동도금 강판과 1.6mm의 강판 3매로 이루어진 4층구조의 6mm 두께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바닥에는 소결합금(燒結合金)의 대형 절연체를 사용해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있고, 후면부/전면부 보강판과 더불어 1.2mm 두께의 4매의 동도금 강판을 사용해 샤시를 3 박스 구조로 구성하며, 섀시 전체는 동도금 되어 전기적 노이즈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다..상판은 1.2mm 두께의 형상이 서로 다른 판(板)을 3 종류를 사용하였고, 측면부는 2.5mm 두께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패널을 사용하였으며, 트랜스와 부품 사이의 섀시 재질은 알루미늄 주물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이렇게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섀시 구조에 철저를 기하는 이유는 미디어에 기록된 고밀도의 데이터를 정밀하게 읽어 들여야 하는 DVDP가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전원부로부터의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을 억제하여야만 질 좋은 영상과 사운드를 얻을 수 있는 가장 기초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구조는 이미 자사의 하이엔드급 CDP인 DCD-S1에 채택하여 극찬을 받았었던 구조와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