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
1부 - 외형적 특징...
들어가면서...
먼저 이 제품은 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라는 모델이며 시판되기전의 테스트 기기입니다.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새 본격적인 디지탈사회에 들어서면서 "2002 월드컵"에 발맞춰 방송국 또한 HDTV방송 시험송출과 가전회사에서도 발빠른 HDTV제품출시로인하여 요사이 매니아들뿐만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HDTV의 관심도가 매우 커졌음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데 과거 관악산에서 시험송출되는 전파로 인하여 관악산이 보이는 주변지역에서부터 일던 HD바람이 서울지역의 "케이블이나 유선방송에서 HD송출"을 해줌과 동시에 더더욱 HD방송에 대한 관심도가 폭발적으로 나타난 기폭제역활을 한것같다는것이 생각이 듭니다.
물론 지방에 계시는 분들께는 매우 죄송하지만 지금 현재 올 1월부터 시작한 대전을 중심으로 HD방송이 시작되는등 각 지방도시들도 곧 시작예정이라고 하니 먼저 정보제공차원차 부족하나마 몇글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먼저 1018i 신호를 받을수있는 HD급 TV가 있어야 하며(사진속의 TV는 제가 사용하고있는 소니36DZ900모델의 HD TV입니다.)
그리고 또하나 가장 중요한 셋탑박스가 있어야 합니다.(사진 가장위 모델로 테스트기기인 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 입니다.)
전 개인적으로 TV와 셋탑박스간의 연결은 D단자-컴포넌트단자로 연결하였으며 음성연결은 디지털 연결로 광케이블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사는지역은 강남 대치동지역이라서 안테나로는 신호를 받지못하는 상황이라 강남케이블을 이용하여서 HD신호를 받았습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설치에 대해서 가장 궁금해하시는데 설치는 알고보면 정말 간단합니다.
제일먼저 현재 관악산이 보이는지역또는 관악산에서 송출하는 아날로그TV방송 27(SBS), 37(KBS), 41((MBC)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사시는분이시라면 "UHF용 실외안테나와 실내안테나"(윗줄 첫번째,두번째사진)를 사용하셔서 셋탑박스의 안테나선에 연결하셔서 14(MBC),15(KBS),16(SBS)번등을 잡으시면 됩니다.
[참고] UHF 실외안테나로 디지털 방송신호 잡는방법==>눌러주세요
그리고 그외에 지역에서는 케이블TV나 유선방송국에서 송출하는 HD방송을 내보내는 지역에 포함되시는분이라면 케이블(유선)을 통해 볼수가 있는데 이때 "RF분배기"(밑에줄 왼쪽 사진)라는것을 이용해서 "IN"부분에 케이블(유선)에서 들어오는 선을 연결하시고 2개의 "OUT"부분에 각각 하나는 케이블(유선)의 "컨버터"에 연결하시고 하나는 "셋탑박스"의 안테나선에 꼽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 HD방송 재전송 지역 리스트==>눌러주세요
외형적 특징 설명...
이제 본격적으로 가온미디어 셋탑박스인 "KAF 500"의 외형적 특징을 설명드리자면
미리 사진을 통해 보아왔지만 실제 처음 박스를 뜯고 이렇게 작을수가... 다시한번 놀라수밖에없을정도로 매우 작은 크기에 만족스러운 느낌을 받을수가 있었습니다.
본체의 샴페인 골드색상은 매우 고급스러우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는데 디스플레이창역시 넓어서 한눈에 채널을 쉽게 알아볼수있겠금 되여있는점이 독특합니다.
가온 셋탑박스 본체를 보면 외간이 매우 깔끔하다는것이 가장 큰 특색인데... 이는 본체에서 콘트롤할수있는 버튼을 판넬안으로 배치하였기때문입니다.
디스플레이창 위를 보면 "PUSH"버튼이 있어 이버튼을 눌르면 전면판넬이 열리면서 리모콘없이 본체에서 작동을 할수있는 버튼이 손쉽게 작동할수있도록 배치되여있기도 합니다.
윗쪽 왼쪽사진을 설명드리자면
안테나연결하는곳에 UHF용실내,실외안테나나 케이블(유선)을 연결하시는 단자가 있고, TV가 일반TV인경우는 480i에 맞추고 HDTV인경우에는 1018i/720P/480P에 맞추는 스위치와 외부기기연결시 RGB 모니터인경우에 RGB에 컴포넌트 출력단자가있는 TV인경우에는 Y,Pb,Pr스위치에 선택을 하는단자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SERVICE PORT는 나중에 기기 업그레이드 할때 사용하는 단자입니다.
윗쪽 오른쪽 사진은
RGB단자와 컴포넌트 단자 그리고 S-VIDEO단자가 있습니다. S-VIDEO단자로는 1018i급 화질로는 즐기지못하지만 일반TV인경우 연결할때 사용하면 됩니다.
아랫 왼쪽 사진은
리시버에 연결할수있는 광단자와 동축단자,그리고 리시버를 사용하지 않을경우 TV와 연결할수있는 오디오 출력단자를 볼수있으며 또한 S-VIDO단자도 없는 일반TV인경우 연결할수있는 컴포지트단자(CVBS)를 볼수있습니다.
아랫 오른쪽사진은 전원선인데 아쉽다면 전원코드가 분리형이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전체적으로 후면단자를 보면 디지털TV뿐만 아니라 일반TV에도 연결할수있는 다양한 영상신호 출력단자와 음성신호출력단자를 보유하는등 전혀 부족함이 없을정도로 충분합니다!!!
리모콘은 셋탑박스의 본체색상과 같은 삼페인 골드색상을 띄고있으며 십자형태의 버튼의 배치는 기기조작을 매우 쉽게 할수있도록 잘되여있는편이며 기능이나 동작을 모를때 사용할수있는 HELP버튼과 채널정보를 알수있는 INFO버튼,현재 시청중인 채널의 시간대별 프로그램을 볼수있는 EPG버튼등이 눈에 띕니다.
그리고 리모콘부의 작동 거리와 각도가 매우 넓은편이여서 리모콘이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의 반사파에도 작동될정도로 범위가 매우 넓어 실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점이기도하며 리모콘의 버튼촉감또한 괜찮은 편입니다.
이상 위에서 말씀드렷듯이 가온 셋탑박스 KAF 500의 외형적 특징이라면 후면부의 부족함없는 풍부한 단자뿐만아니라 전면부의 불필요한 버튼을 본체속으로 내장하여 깔끔한고 세련된 디자인을 자랑한다는 외형적특징을 들수있으며
일반적으로 셋탑박스의크기가 매우 작은편이여서 TV밑의 선반이나 작은 공간등에 수납할수있는 장점과 본체의 삼페인 골드색상은 TV나 리시버등의 여러기기와 조화하는데에도 부족함이 없을정도로 디스플레이의 장점또한 매우 우수한 편입니다.
1부 사용기를 마치며...
1부 사용기를 마치며 가온셋탑박스인 KAF-500은 깔끔하고 심플한 소형의 디장인등의 외형적인면에서는 합격점을 주고싶을정도로 높은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재까지의 문제점은 제작사에서 열을 식히기위한 노력이 제품의 디자인에 잘 나타나있으나 열이 상당하다라는 문제점이 대두가 되는것 같습니다.
이는 사용칩셋의 문제점인것 같은데... 열을 식히기위한 최선의 노력이 필요할것 같다고 생각되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크기를 조금 가로로 늘리면서(DVDP정도 가로크기) 오히려 높이는 더욱 줄여서 "슬립화"을 이루어서 칩셋이 열을 식히기위한 공간을 확보해 주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생각이 듭니다.
또한 개인적으로 이제품에 채널표시 디스플레이창이 있다는점에 높은점수를 주고싶지만 한가지 조금더 요구사항이라면 셋탑박스 성격상 전원케이블을 TV와 함께 전원콘센트에서 을 항상 꼽아놓고 있을거라고 생각되는데.....
현제 전원콘센트를 뽑지않은이상 리모콘으로 전원을 끄더라도 셋탑박스의 디스플레이창에 " ---- "로 표시가되는데 이를 시간표시기능을 집어넣어서 셋탑박스의 전원을 껏을때 시간을 볼수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시계로도 사용할수있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국내HD방송사정상 하루에 한두번정도만 하는 HD시간이 잡혀있어 항상 시간을 보며 "HD시간"이 됬나하고 자꾸 시계를 찾아보곤하는 습관이 생겨 이런 "시간기능"이 첨가되여있으면 좋겠다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현재도 심플하지만 "칼라창LCD"정도로 마무리하면 더욱 고급스럽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
2부 - OSD(메뉴 설정)...
들어가면서...
셋탑박스를 사용하여 HD방송을 보실려면 먼저 셋탑박스의 전원을 꼽고 그다음 자기가 갖고있는 TV의 성능에따라 알맞는 셋탑박스의 세부설정을 하여야합니다.
지금부터 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의 "초기시스템 설정"하는방법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가온미디어 셋탑박스인 KAF-500의 메뉴설정(OSD)설정의 사용상 큰 특징이라면 거의 설명서가 필요없을정도로 상세하면서도 간단한 그림이 포함되여있는 OSD는 초기시스템을 설정하는데 초보자라도 대충 무엇을 하는지 알수가있어 전혀 어렵지 않다는점이 특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조금 이해가 안된다고 하면 메뉴구조에서 해당기능에 화살표를 이동시켜 "HELP"버튼을 눌르면 상세한 설명까지 있어 전혀 설명서가 필요없을정도로 편리하게 되여있습니다.
먼저 셋탑박스의 초기시스템설정을 할려면 리모콘의 "MENU"버튼을 눌러 세부설정에 들어간다음 "OK"버튼을 눌러 기억을 시키고 "EXIT"버튼을 눌러 빠져나올수있습니다.
사진에서처럼 십자가형태의 방향표시버튼은 OSD를 조작하는데에는 상당히 편리하게 구성되여있어 초보자라도 쉽게 따라할수가 있도록 되여있어 편리성이 띄어난편입니다.
초기 시스템설정...
리모콘의 "MENU"버튼을 눌러면 이와같은 메뉴가 나오며 "화살표"를 방향표시버튼을 이용해 "OK"버튼을 눌러 해당설정 화면으로 들어가게되여있습니다.
1.방송순서안내
지금사진은 메뉴구조중 제일먼저 나오는 "방송순서 안내"이며 이는 리모콘의"EPG"버튼과 동일한것으로 이를 눌르면 방송사에서 EPG기능을 방송과 함께 지원을 하는 방송이라면 사진에서 처럼 TV방송순서가 시간대별로 차례차례 나옵니다.
현재 EBS와 SBS 두방송에서만 EPG기능을 사용할수있습니다.
2.채널설정-자동선국
이는 셋탑박스에서 자동으로 HD방송을 찾고 또한 찾은채널을 자동으로 저장하기도하는 기능입니다.
여기서 숫자가 1부터 100단위까지 자동으로 숫자가 하나씩 변하면서 찾아가는데 조금 시간이 긴듯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한번만 해주면되므로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다리시는편이 좋습니다.
2.채널설정-채널저장,지움 ; 안테나선택
첫번째 사진인 "채널저장,지움"은 이 를 선택하면 채널이 저장또는 지우는 기능을 합니다.
두번째 사진인 "안테나 선택"을 OK눌르때마다 "일반" 과 "유선"이 선택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HD방송을 UHF용 안테나로 잡았을경우 "일반"으로 맞추어 놓고 아니면 케이블이나 유선으로 HD방송을 보시는분이라면 "유선"으로 선택하는 기능입니다.
3.시스템설정-화면비 설정
이 기능은 자신의 TV가 4:3이거나 16:9(와이드 TV)이냐에 따라 선택하며 일반적으로 와이드형 TV를 가지고있는분이라면 "16:9 Full 방식"을 선택하면 화면 가득히 HD방송을 보실수있습니다.
(4:3 TV일경우는 4:3 Full 방식 , 4:3 Pillar는 16:9 방송을 4:3방송으로 볼떄 사용,16:9 Letter는 4:3방송을 16:9 TV로 볼떄 사용하면 됩니다.)
3.시스템설정-해상도 설정
자신의 TV가 HD급 TV일경우는 일반적으로 "1920*1080i"로 선택해야지 HD방송화질을 볼수가있습니다.
그이하는 자신의 TV가 HD급TV가 아닐경우 그에 해댱되는 해상도로 조정을 하셔야 합니다.
3.시스템설정-오디오 설정 ; 오디오 언어설정
첫번째 사진은 오디오설정을 하는기능이며 OK버튼을 눌르때마다 AC-3 와 PCM으로 변환됩니다.
두번째 사진은 오디오 언어설졍을 하는기능으로 마찬가지로 OK버튼을 눌르때마다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불어"순으로 변환됩니다.
4.신호감도체크
이기능은 자신의 지역에서 HD방송신호를 받는 세기를 측정하는 기능으로 사진에서처럼 그래픽의 빨간 칸으로 구성되여있습니다.
개인적이지만 이러한 그래픽의 칸과 더불어 "숫자"로도 표시가 되여있으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저희집은 대치동지역이라서 UHF안테나로는 도저히 신호를 받을수없어서 현재 강남케이블을 이용하여 HD방송신호를 잡고있으며 그림과 같이 신호세기는 거의 80 - 100% 정도되여 안전정으로 HD방송을 볼수가 있었습니다.
이상 이와같이 "MENU"버튼을 눌러 초기설정을 하고나면 HD방송을 보기위한 준비작업이 끝나는데 드디어 HD방송을 볼수있는 조건을 맞추고 본격적으로 HD방송을 즐길수가 있습니다!!!
초기설정을 마치고나서...
초기설정을 마치고나서 드디어 "CHANNEL"버튼을 눌르면 초기설정에서 "자동선국"으로 HD방송신호를 잡은 신호가 저장되여있어서 신호를 잡은 HD방송을 볼수가있습니다.
한가지 여기서 말씀드리자면 현재 사용중인 "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은 아나로그 신호를 잡지않고 오로지 디지털신호만 잡는 셋탑박스라는것입니다.
또한 여기서 눈여겨볼만한점이라면 사진에서 보면 익히 우리가 눈에익은 아나로그 방송채널(11,9,7,6)로 뜨는데(HD방송을 실제로 여타 다른 셋탑박스로 잡는경우 ==> 강남 케이블인경우는 79,80,81,82,83번으로 송출,UHF 안테나로 잡는경우는 14,15,16,17,18번으로 송출) 여기서 참 편리하다면 "가온미디어 KAF-500"은 이를 가상체널로 변경하여 11-MBC,10-EBS,9-KBS1,7-KBS2,6-SBS로 잡아주어서 EBS만 제외한면 나머지는 익히 우리가 사용하던 채널이라 채널변경에따른 혼돈을 아예 없에버리는등 소비자를 위한 세심한 배려가있는 제작사의 노력이 였보이는 부분이기도하며 상당히 경쟁력이 있는 기능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채널간 이동의 걸리는시간이 1 ~ 2초정도가 소모되여 조금 길다는 느낌을 받을수가 있었습니다.(예를 들어 11번을 누를면 11-0에서 11-1로 변화되면서 실재 화면이 뜨는 시간)
또한 한가지 부탁드리고 싶은점은 채널을 선택할때 채널표시가 뜨고 지금 보고있는 방송이 진짜 HD방송인지 아니면 업컨버팅해서 송출하는 방송인지 헷갈리는경우가 있습니다.
즉,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면 그방송이 480i ==> 1018i 로 업컨버팅해주는지 아니면 1018i ==> 1018i의 HD방송인지 이런 데이타를 집어넣었으면 하는 바람이 매우 강하게 들기도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리모콘의 부가기능으로 "EPG"버튼을 눌르면 방송사가 EPG기능을 송출하는 방송사라면(현재 SBS 와 EBS) 이 버튼을 눌르면 그날의 방송편성표가 나와 상당히 편리한 기능입니다.
리모콘의 "INFO"버튼을 눌르면 현재 시청하고있는 방송의 채널정보를 볼수가있는데...
개인적으로 채널선택시 480i ==> 1018i,1018i ==> 1018i등의 채널에 표시하거나 또는 여기에 이런 기능을 넣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기능은 MENU버튼을 눌러 초기시스템설정을 할경우 그기능에대한 자세한 부가설명을 하는 기능입니다.
위사진은 예를들어 시스템설정의 화면비설정에 화살표를 위치하여서 HELP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부가설명 표시입니다.
2부 사용기를 마치며...
1부 외형적인 특징에서 오늘은 초기시스템설정을 위한 OSD기능을 말씀드렸습니다.
1부에이여서 2부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온미디어 셋탑박스 KAF-500"에서 느끼는 매력과 장점은 상당히 신뢰적이며 우수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을정도로 "소비자를 배려한 제작사의 노력"이 돋보였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2부에서는 가장 특징적인점이라면 메뉴버튼을 눌러 초기시스템설정을 할때 상당히 알기쉬우면서도 HELP버튼을 이용해 그 부가설명까지 볼수가있어 설상 메뉴얼이 필요없을정도로 기기를 싫어하시는분이라도 쉽게다가갈수있는 편리하게 구성되였다는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으며
또한 가상채널을 잡아주어서 우리가 아나로그방송채널을 기억하는 보통사람들에게 HD방송때문에 바뀌는 채널의 혼돈성을 최소화하는 기능은 정말 칭찬해주고 싶은 부분입니다.
하지만 채널간 이동시 지연되는점과 현재방송되는 방송정보(업컨버팅 방송인지 HD방송인지 하는 표시)등은 개선해야될점으로 보입니다.
이상 2부 사용기를 마치며 3부에서는 본격적인 HD방송화질 즐기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시느라고 고맙습니다.
사용기기...
디스플레이:소니 36DZ900
셋탑박스:가온미디어 KAF 500
DVDP:파이오니아 737
리시버:야마하 AX-2
메인:B&W DM 603S2
센터:B&W CC6 S2
프런트 이펙트:JBL N-24
리어,리어센터:미션 70ds
우퍼:야마하 SW800
스피커케이블:(바이와이어링)몬스터 SFLM 플랫형
우퍼케이블:오넬바흐 NF 214 서브우퍼케이블
기타:오엘바흐 동축케이블,Shock Absorber,스피커 플러그 B1,D단자-D단자 케이블,D단자-컴포넌트 케이블
전원장치:파워테크 AVR-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