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1074 | ID : pumred | 글쓴이 : 주기표 | 조회 : 7284 | 추천 : 223
77,000 원
Monster 인터커넥터 케이블 Interlink Portable 400 Mkll (1.5m)
Monster's "Best Buy" Audiophile Cable
부드럽고, 넓어진 중고역과 깊고 단단해진 파워넘치는 저음구현.
스테레오 미니잭-to-RCA 형태의, 포터블 CDP나 MD 플레이어에 이용할 수 있는 고급 인터 커넥터 케이블입니다.
게임기 및, PC의 사운드 카드와 각종 AV기기들과의 연결을 간편하게 해결해 주는 인터커넥터입니다.
24K 금도금으로 포터블 기기나 PC의 사운드 카드에서도 고음질을 유지해 줍니다.
이 케이블이 무슨 용도의 케이블인지 혹시 아세요?
케이블 종류가 너무 많죠?
스피커 케이블이든, 연결 커넥터용 케이블이든....
이 케이블의 정식 명칭은 저도 잘은 모르지만,
대략 3.5mm미니잭-to-RCA 인터커넥터 케이블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대략의 용도는 일반적인 인터커넥터 케이블이라면 양쪽이 RCA단자로 되어있는 두가닥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소스기나 앰프를 +극과 -극, 혹은 오른쪽 채널과 왼쪽 채널로 구분하여 연결을 해줍니다. 그런데 이 3.5mm미니잭-to-RCA 인터커넥터 케이블의 경우는 한쪽이 RCA단자가 아니고, 3.5mm 미니잭이라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이어폰잭같은 것을 말합니다. 동일한 용도로 pc의 사운드 카드나 미니 카세트테잎 플레이어나 휴대용 포터블 CDP등을 일반 앰프에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케이블입니다.
예전에 오디오 잘 모를때는 전파사에서 파는 2000원짜리 동일한 용도의 케이블 사용했었답니다. 그에 비하면 가격차이가 어마어마하죠?
잠시 몬스터라는 케이블 및 악세사리 제조 업체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국내에서는 단순히 저가용 케이블과 악세사리나 만드는 그렇고 그런 회사로 알려진것 같지만, 엄연히 세계 시장 점유율이 압도적인 1위입니다. 제품 종류만 몇천가지가 되고, 회사가 워낙에 크다보니 케이블이나 악세사리 외에도 다른 오디오 관련 제품들도 다수 제작하고 있으며, 시리즈별로 현재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 외에도 그보다 상급 기종들은 최고 몇백만원 하는 케이블도 제작을 하는 미국의 전문 업체입니다.
제품의 가격이 약간 비싼것 같기는 하지만, 요즘 PC와의 연결을 통해 MP3를 활용하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 저도 오디오를 접하게 되면서 이상하게 PC와의 연결을 통해 MP3는 자주 안듣게 되었지만, 이 케이블로 바꾸고 나서는 그래도 예전의 그 텁텁한 사운드보다는 많이 개선이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인터커넥터같은거 바꿔봐야 별 차이점 못 느끼시는 분들, 인터커넥터에 의한 신호 손실이 가장 취약한 쪽이 바로 PC와 오디오기기와의 연결인듯 합니다. 금도금이 충실하고 텐션이 좋아서 오랜동안 사용하여도 단자의 질이 떨어지지 않으며 근본적으로 막선과 이런정도의 선의 차이점을 못 느낀다면 그냥 막선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PC사운드 카드가 7만원을 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인데, 7만원상당의 PC용 케이블을 사용한다는 것이 부담이 될수도 있겠지만, 저는 PC매니아라기 보다는 오디오 매니아다보니 음손실을 줄이고 제 시스템에 신경 좀 써주고 싶어서 구입하였습니다.
결과는 투자한 만큼 거둬들인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벼라별 케이블 관련 회사가 많이 있겠지만, 이런 케이블, 이런 악세사리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다보면 분명 몬스터에는 다른 브랜드에 비해 약간 더 나은 제품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가격은 좀 비싼감이 있지만, 투자한것에 대해서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한번 사면 오랜동안 안심할 수 있는게 또 케이블이죠~ ^^;;
PC나 휴대기기를 오디오에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중에 연결커넥터가 좀 부실하다고 생각되시는 분들에게는 한번 권해봅니다. 길이는 1.5M더군요. 약간 짧은 감이 있습니다. ㅡㅡ;
운영자
정성스런 사용기 감사합니다. 적립금 10,000을 적립해 드리겠습니다.
정용훈
저 역시 아직도 별다른 컴용 스피커를 쓰지 않아서 그런지 Y형 케이블(요게 가장 일반적인 명칭이죠?^^3.5mm stereo male plug-2 RCA plug가 공식명칭이 아닐까 저는 생각합니다.^^; )에 관심이 있어 전파사 Y케이블과 광케이블(샤프 SD-NX10H가 광입력이 가능합니다..)을 비교해보았습니다..차이가 분명히 있었습니다. 결국 HIFI에서 인터컨넥터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와 본질적인 문제입니다만..(가격과 비례해서^^)저는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항상 기표님 글을 보며 많이 배우는 입장이지만 정말 도전적이시네요^^많은 도움주셔서 감사드립니다.(요즘 시간이 조금 나서 여기저기 글을 많이 적습니다..제 답글이 지겨워도 이해해주세요^^)
주기표
저도 이렇게 저렿게 10,000원씩 챙깁니다. ^^;; 근데 이것도 주일당 10사람에게 해당된다죠? 정식명칭에 대해서는 잘 참고하겠습니다. AV리시버가 있고 사운드 카드가 디지탈 출력을 한다면 디지탈 입출력 하는 것이 낫기야 하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