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1357 | ID : fineav | 글쓴이 : fineAV | 조회 : 12374 | 추천 : 362
0 원
Pioneer AV 리시버 VSX-D859TX
THX Surround EX, DTS ES 지원!!(별도의 파워앰프 필요)
THX Select 인증 획득!!
Direct Energy MOS FET Power Amplifier
Dual LSI DSP(Digital Signal Processor)
96khz/24-bit audio D/A converter
대형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 21Kg이라는 육중한 무게
DD와 DTS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다양하고 기능적인 음장기능
한때 1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에 판매되던 파이오니아의 중급기,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다면 가히 횡재라 할만하다!!
파이오니아는 국내에서는 AV리시버 시장에서 그다지 잘 알려진 브랜드는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카오디오 분야에서는 가장 거대한 브랜드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어 부분이나 그 외, AV리시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오디오 관련 장비 시장에서는 가장 넓은 시장 장악력을 가진 회사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안타깝게도 파이오니아의 AV리시버가 수입이 늦어진 관계로 해외에서 알려진 파이오니아 제품의 명성이 어느정도나 되는지 알 길이 없었다. 특히 일본 현지에서는 데논의 A1SR과 함께 초대형 AV리시버의 양대산맥으로 파이오니아 AX10이 굳건히 그 명성을 쌓아오고 있으며, 제품의 그레이드별 라인업도 다른 브랜드에 비해 더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 파이오니아 AV리시버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것을 어느 누구도 부정하지는 않겠지만, 올 하반기부터 파이오니아 AV리시버에 대한 수입과 보급이 활발해 질 것으로 보인다. 애호가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던 플래그쉽 모델인 AX10의 수입과 더불어 그 이하 기종들이 그레이드별로 속속 정식 출시를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소개하게 될 파이오니아 VSX-D859TX는 발매 당시 1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에 판매되던 제품이지만, 현재의 경우는 가격이 많이 저렴해진 편이다. 출시 시기는 대략 DTS-ES와 DD-EX라는 포맷이 한창 기지개를 필 무렵, 출시가 된 탓에 DTS-ES, DD-EX 포맷 대응에 대한 전형적인 앰프 구조를 취하고 있지는 않지만, 분명 DTS-ES와 DD-EX를 지원하고 있다.
외관을 대략 살펴보자면, 전면 판넬은 고급스러운 알루미늄 판넬이며, 버튼과 노브는 플라스틱이다. 야마하나 데논의 상급기처럼 도어 패널을 채용하여 여러가지 버튼들을 깔끔하게 처리하고 있는데 그 도어패널의 두께나 두께가 상당한 수준이다. 제품을 실제로 손으로 들어보면 그 무게가 가격에 비해 굉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제품의 무게가 무려, 21Kg이다. 100만원 이하에서 이보다 무거운 AV리시버를 찾아볼 수 없다. 후면 패널에는 기본적으로 5.1채널 direct input 단자와 5.1채널 pre out 단자가 있으며, 디지털 입력 단자는 광입력 단자가 4개, 동축 입력단자가 3개로 넉넉한 편이다. 스피커 연결 단자는 기본적으로 프론트, 센터, 리어 연결단자가 있으며, 서라운드 백 채널과 프론트 B 연결단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연결단자가 별도로 지원되고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비디오 입력 단자 2세트와 출력단자 1세트를 지원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급기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만듦새이다.
대형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 21Kg이라는 육중한 무게
이 제품의 특징은 확연히 다른 제품의 무게와 그 무게의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원부의 대형 트랜스포머는 일반 보급기에서는 정말 찾아보기 어려운 정도이다. 그 덕분인지 130w의 수치적 출력이 체감적으로도 설득력이 있는 편이다. 음색의 특징이라면 힘이 있고 밀도감이 좋으며, 꽉찬 음이다. 이 가격대의 AV리시버에 완벽한 음을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다른 브랜드에 비해 음악적으로도 상당히 경쟁력을 갖춘 소리이다. 구동력은 크게 칭찬해 주고 싶다.
우퍼의 제동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같은 스피커라도 이전에 없던 저음을 들을 수 있다. 우퍼 엣지의 탄력성이 살아나고 저음의 양이나 무게감, 그리고 단단하면서도 순발력 있는 저음이 살아나 신이 나고 듣는 맛에 감칠맛이 더한다. 고역의 느낌은 약간의 강성을 띄고 있지만, 어느정도의 두께를 갖추고 있어서 음이 크게 거친편은 아니다. 강성을 띄고 있다는 것은 선명함은 좋으나 음이 약간 힘이 있고 강하게 뛴다는 것이다. 소리가 얇거나 거칠다는 것과는 다른 뜻이며, 이러한 특성은 적극적이고 임펙트한 사운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환호할만한 특성이다. 얇고 거친 것보다는 오히려 힘이 있고 밀도감이 있으니 더 나은 특성이다. 완벽한 것은 없겠지만, 소니나 야마하, 데논 등의 장점 등을 두루두루 닮았다고 볼 수 있겠다. 다른 예를 들자면, 이전에 사용해본 인켈 R963G에 약간의 색조를 띄었다고 하면 그 음의 특성이 상당히 비슷하리라고 본다. 구동력이나 힘의 정도도 R963G나 데논 3803등과 많이 닮은 느낌이다. 전시장에서 물려본 B&W나 JBL, 와피데일 등의 스피커들과 다들 잘 어울렸다.
DD와 DTS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다양하고 기능적인 음장기능
영화사운드에서의 활용도도 특별한 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DD나 DTS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음장기능이 활성화 되는 AV리시버는 야마하나 소니정도로 다들 알고 있겠지만, 이 파이오니아 VSX-D859TX는 DD나 DTS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DSP를 이용한 음장기능이 활성화 되기도 하며, THX 기능으로 인해 THX 음장 사운드로 감상할 수도 있다.
간단히 정리를 하자면, 파이오니아 VSX-D859TX로 감상할 수 있는 음장기능의 종류는 대략 이렇다.
DSP 버튼으로 활성화 시키는 음장기능
ADVANCED 버튼으로 활성화 시키는 매트릭스 ACTION, DRAMA 등의 7.1 채널 기능
THX 버튼으로 활성화 시키는 THX 음장 기능
그리고 STANDARD 버튼을 누르면 음장기능이 활성화 되지 않은 일반 DD나 DTS T사운드로 다채널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다.
위에서 열거한 것처럼 파이오니아 VSX-D859TX는 일반적인 AV리시버들에 비해 상당히 다양한 음장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DSP를 이용한 HALL이라던지, GAME이라던지의 소위 기본 DD사운드나 DTS사운드에 변화를 가하는 방식은 물론이거니와, MUSICAL, DRAMA, ACTION, THEATER 등의 특성데로 가상 7.1채널을 만들어 내는 ADVANCED모드도 일반 음원소스를 생동감있게 감상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파이오니아 VSX-D859TX는 출시 당시 THX-SELECT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앰프 본연의 충실함이나 기능면에서 까다로운 루카스필름의 THX 심의를 통과한 제품이라 기본적인 성능에 대해서는 신용을 할 수 있는 제품이라 할만하다.
이 외에도 고급 MOS-PET 출력 소자의 사용이나 듀얼 LSI DSP의 사용 등의 앞선 꼼꼼한 기술과 기능들이 만나 다채널 사운드에서도 탄탄하고 골격이 튼튼한 음을 재생해 주는데, 일반적인 보급기에서 느껴지는 가볍고 뭔가 아쉬운 소리와는 확연히 구분이 된다.
최종적으로 이 제품이 최근 신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100만원 이하 기종들과 비교되는 점은 130W의 넉넉한 출력, 대용량의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 21Kg이라는 육중한 무게, 그리고 다양한 음장 기능, THX-SELECT 인증으로 인한 믿을만한 기본기, DTS-ES, THX-EX 등의 포맷 지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탄탄한 고음질이다. 최근 들어 기존에 고가에 판매되던 몇몇 브랜드의 구버전 제품들이 굉장히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을 본적이 있는데 이 제품도 현재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가 된다면 그것처럼 횡재는 없을거라는 생각이다. 분명 파이오니아 VSX-D859TX는 중급 AV리시버로서의 자질을 흡족하게 갖추고 있다. 어떤 제품이 더 횡재에 가까운지는 분명 제품을 접해보고 나서 판단할 일이다.
Killian
메일로도 드렸지만 잘못된 정보라서 지적합니다. 무게는 21Kg 이 아니라 17.6Kg 이며 프론트B용과 리어백 공용의 스피커 단자는 없습니다. 그냥 프론트 B 만 됩니다. 리어백 사용하려면 별도의 파워앰프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저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고, 현 가격대 성능비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에는 공감하지만 틀린 정보를 제공하시면 안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한가지... 바나나 단자 지원 안하나요? 된다는 사람도 있던데, 전 도저히 안들어 가던걸요.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